본문 바로가기

사업개발캠프(2025)/기타학습

카피라이팅과 고객심리 02(A)_ 카피라이팅과 제품 상세페이지(스압)

💡 빠져 나갈 수 없는 제품 페이지

 

📍 구매가 결정되는 곳, 상세페이지

제품 상세페이지란? 

  • 온라인 공간의 '매장'
  • 제품이나 서비스를 자세하게 설명 해주는 온라인 페이지
  • 제품/가격/배송/후기 등 구매에 관한 모든 정보
  • [구매하기] , [장바구니]버튼
  • 썸네일, 광고 배너 등 외부의 매체를 통해 우리페이지로 '랜딩(landing)'
  • 직접적인 구매하기 action 이 실행되어 마케팅의 성과를 만들어준다.

 

📍 사진만 잘 찍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상세페이지 구성 요소 (*텍스트가 필요한 영역)

  • 제목
  • 썸네일
  • 헤드카피
  • 서브카피
  • 본문카피
  • 이미지
  • 가격
  • 배송정보

 

📍 잘 팔리는 상세페이지의 핵심  

기본명제: 방문객이 많이 유입되어야 한다. 그리고 방문객이 구매를 결정 (전환) 해야 한다. 

외적요인과 내적요인이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한다.

 

 

1. 빠르게 구매 결정할 수 있는가? 

➡️ 이탈이 일어나기 전 구매 결정을 만드는 장치들이 있는가?

구매까지 가는 여정이 길 때 유용하다. 

 

예시) 매트리스 구매 프로세스

1) 내 수면패턴을 먼저 알아보고

2) 우리집 침대 프레임 크기를 알아본 후에

3) 나에게 꼭 맞는 침대를 찾아

4) 구매하도록 유도 

 

 

 

2. 스크롤을 더 내려보고 싶은가? 

➡️ 오프라인 매장의 구경시간이 길어질수록 구매량도 증가, 즉 더 오래 머물면 구매 가능성도 높아진다. 

  • 오랜 시간을 투자한 것에 대한 무의식적인 애정
  • 매몰 비용: 투자한 시간을 낭비했다는 기분을 느끼고 싶지 않아 구매 결정
  • 더 많은 정보 습득 가능
    • 더 오래, 자세히 읽을수록 제품에 대해 어필할 기회가 늘어난다.
    • 제품의 셀링 포인트를 더 많이 보여주고 왜 필요한지를 인지시키고 설득한다.
    • 제품을 더 많이 읽어낸 소비자가 그렇지 않은 소비자보다 구매확률이 높다.
  • 호기심 자극 혹은 유용한 정보를 뿌려서 더 많이 체류하도록 유도

 

*<The Interplay Among Category Characteristics, Customer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Activites on In-Store Decision Making> 

 

3. 타깃이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문구와 이미지로 말을 거는가? 

➡️ 관심은 공감을 전제로 한다. 

흥미와 자극이라고 해서 단순히 시선을 강탈하는 유머콘텐츠를 이르는것이 아님. 

사람이 재미있다고 느끼려면 기본적으로 공감이 전제되어야 한다. 

우리가 팔고자 하는 고객에 대해서 알고, 이에 맞춰서 제안할 줄 알아야 소비자가 구매 결정을 한다. 

 

 

 

 


 

 

 

💡 구매 여정 맞춤형 메시지 전략

📍 구매 여정 퍼널과 상세페이지 

마케팅 퍼널(funnel): 소비자가 구매까지 거쳐 가는 사이클, 구매 결정의 여정

 

명칭 단계 액션 미션 유도행동  
오프닝 인지 상세페이지 방문 제품의 필요성 인지 상세페이지 방문
방문해서 구경하기
페이지 최상단 - 유입
가장 많은 사람 도달 구간
바디 흥미 정보취득 +신뢰관계 구축 흥미와 구매 고려 촉구 정보를 잘 전달하고
신뢰관계를 구축
페이지 중간 - 구매전환
정보 습득 구간
고려
클로징 구매 행동전환     페이지 최하단 - 행동전환
가장 적은 사람 도달 구간

 

 

 

 

 

 

📍 타입은 달라도 여정은 같다

상세페이지의 타입

  • 스토리텔링 형 (텍스트 많음)
    • 공감대 형성, 제품 작동 원리에 대한 설명, 개발 배경 등 제품 외적 내용 다수 포함
    • 기능 중심의 신제품, 뷰티 제품 등
    • 예) 와디즈, 텀블벅, 올리브영  
  • 정보전달 형 (텍스트 중간)
    • 제품 정보 위주로 구성 (상세페이지보다 조금 더 깔끔하고 심플함) 
    • 정돈된 톤앤매너와 구조 안에서 셀링 포인트 전달
    • 가끔 스토리도 있지만, 스토리텔링형 보다는 압축된 형태
    • 푸드, 생활용품, 의류 등 고객에게 익숙한 제품군
    • 예) 쿠팡, 마켓컬리
  • 비주얼 형 (텍스트 적음) 
    • 시각적/ 미적 요소가 중요
    • 화보같은 이미지 위주로 구성
    • 텍스트 최소화
    • 의류, 디자인/인테리어 등 제품의 디자인 자체게 셀링 포인트인 경우
    • 예) 무신사, 29cm

 

📍 오프닝: 인지를 위한 메시지 구성

목적: 내 컨텐츠에 방문한 사람의 관심을 끌기

관심 끌기 위해 필요한 3요소 

관심의 3요소 콘텐츠 핵심 접근 방법
시선집중    
셀링포인트 전달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이유 이미지 중심 짧고 빠르게 읽히는 주요 특징 요약
호기심자극 상세 페이지를 계속 읽어봐야 하는 이유 제안형, 질문형 문구 주인공 시점의 문구, 후기 콘텐츠 
     

 

 

 

예시) 오직 나를 위한 맞춤형 수면 경험 (slow bed)

최상단:

1) 소비자가 중심인 간단한 문구

2) 이어서 어떤 제품인지 바로 정의내려줌 호기심 자극하여 제품을 알림

3) 스크롤을 조금 내리면 제품의 특징을 요약해서 먼저 보여줌 

 

 

 

📍 정보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바디

  • 오프닝에서 호기심이 자극된 고객이 읽어보는 콘텐츠
  • 정보전달 +궁금증 해소의 역할
    • 과장과 후킹보다는 사실 위주의 카피
    • 명사형 짧은 카피보다는 설명하는 문장형 글 

 

 

 

 

📍 클로징: 후반부 텍스트도 꼼꼼하게

  • 상품 정보와 넛지 문구로 마무리
  • 신뢰를 더욱 굳힐 수 있는 내용 
  • 행동을 결심하게 만드는 카피
    • 구매할 상품의 정확한 specification, option 등 
    • 단계별 행동 유도

 

클로징에서 자주 다루어지는 내용

 

 


 

 

💡 3초 세상에서 승리하는 '후크 포인트'

📍 3초 안에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아야

  • 오래 보지 않는다
  • 첫 스크롤 3번에 고객의 관심을 끌지 못한다면 -> 나와 관심 없는 콘텐츠, 재미없는 콘텐츠로 인식 -> 빠른 이탈 

 

📍 후크 포인트란? 

  • 후크(hook)포인트
    • 온라인상에서 최단 시간에 이목을 끌기 위한 장치
    • 사람들이 어떤 콘텐츠나 기업에 호기심을 느껴 더 자세히 알고 싶어 하게 하는것 

 

  • 낚시성 제목과는 다르다
    • 진정성 있고 흡입력 있는 이야기
    • 가치와 신뢰가 결부된 이야기 
    • 의미가 중요! 

진정성 있는 캡틴 후크가 되보자구



📍 후크포인트가 있는  상세페이지 카피라이팅 5가지

1. 두괄식 글쓰기

내가 알려주고싶은 메시지를 가장 먼저 알려주는 방법.

이게 무엇인지, 왜 구매해야하는지를 안내

  • 빠르게 파악하고 결정하는 화법
  • 기승전결이 아닌 '결-기승전-결' 
    • 결론 ➡️ 근거/이유 순으로 소개
  • 무엇을, 왜 구매해야 하는지
    • 제품 정의 먼저
    • 요점 먼저
  • "앵커링(anchoring)효과" (처음 얻은 정보에 의존에 판단하는 효과

미괄식(?) VS 두괄식 문구, 어떤것이 3초안에 정보를 전달할까?

 

 

2. 직관적인 글쓰기

깊이 생각하거나 판단하지 않아도 직접적으로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 

  • 최소한의 단어
    • 주어, 서술어, 조사 생략하기
  • 꼭 "텍스트"일 필요는 없다
    • 서술형 보다는 명사형
    • 글 보다는 이미지

➡️ 읽지 않아도 읽히는 글

➡️ 소비자가 생각하며 보지 않아야 함

 

(좌) 글과 이미지, (우) 문장 없이 정보 전달

 

3. 주인공(청중)이 분명한

  • 분명한 고객, 분명한 메시지
  • 제품의 셀링포인트와 연결되는 카피

➡️ 나에게 던지는 메시지로 인지될 수 있어야 후킹 가능

 

 

4. 호기심 자극하기

1) 질문하고 제안하기

  • 읽는 사람이 더 빠르게 몰입할 수 있다는 느낌 받음
  • 평서문보다 훨씬 자연스러움
  • 읽는 사람은 나에게 말을 거는 듯 한 느낌

 

2) Before -After

  • 만약 이 제품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일상이 어떻게 바뀔까? 
  • 이미지와 함께 활용
  • 반드시 전후를 사진으로 비교할 필요는 없음

실온에서 신선식품을? 이라는 의외성

 

5.  속도와 리듬감

1) 스크롤을 내리게 하는 힘 (온라인 콘텐츠는 빠르고 시원시원한 것이 좋다.)

2) 시선의 방향은 세로

3) 라임을 맞춰 리듬감 부여 (라임으로 글에 대한 지루함이 줄어들며 읽기도 기억하기도 수월해 진다)

 

시선의 방향이 좌로 우로 흐르면 스크롤이 잘 안내려간다

 

시선이 세로, 라임을 타며 시원하게 내려갈 수 있음

 


💡  메인 카피 VS 본문 카피, 텍스트로 구조화하기 

상세페이지에 어떤 글씨를 크게, 작아야 할지, 어디에 어떤 내용을 넣어야할지에 대해 고민이 많다. 

특히 처음에는 내가 하고싶은 말은 어떻게 담아내야 디자인 요소에도 적합하고 정보 전달도 잘 할 수 있을까? 

 

📍 상세페이지에 들어가는 카피의 종류

크기와 역할을 중심으로 나누어 보통 4가지 종류의 카피가 활용된다.

  • 메인카피 - 가장 임팩트 있음 (제목)
  • 서브카피- 그 다음으로 임팩트 있음 (부제목)
  • 본문카피- 본문에 들어가는 글씨 (내용)
  • 사진주석- 사진 아래의 주석 (부연설명)

가장 임팩트 있는 메인카피, 본문에 들어가는 작은글씨, 사진아래의 주석까지 크기와 역할을 중심으로 분류할 수 있다. 

크고 간결한 

 

 

 

 

 

 

 

 

 

 

 

가장 큰 글씨는 제목 - 메인카피

메인카피 주변에 조금 더 작은 글씨로 한 줄 추가 된 내용 - 서브 카피 

상대적으로 작은글씨로 가장 긴 내용 - 본문 카피, 메인카피에서 주장한 내용, 제품 특징을 조금 더 풀어서 설명

4계절을 즐기기위해 어떤 부분이 해결됐는지, 어떤 이유로 교복처럼 입을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

 

 

 

 

 

 

디자인 요소가 많이 들어간 상세페이지

 

가장 큰 글씨 - 제목, 메인카피

본문 - 텍스트대신 막대바와 일러스트로 시각적표현

이미지 아래 들어간 작은표시 - 주석 

 

 

조거팬츠 상세페이지와 마스카라 상세페이지의 형식은 달라보이지만 기본 구조는 동일하다

 

 

📍 구조가 필요한 이유

  • 가독성➡️ 신뢰 상승
    • 정돈되지 않은 콘텐츠는 신뢰도도 떨어진다
  • 고객의 빠른 정보 탐색
    • 어디서, 어떤 정보를 찾을 수 있는지
    • 책을 볼때 목차를 살펴보는것과 동일한 이치
  • 상세페이지 "역류" 방지
    • 읽는 순서에 맞는 플로우(flow)
    • 자연스러운 정보 전달
    • (상세페이지를 아래로 한번이라도 더 내려봐야되는데, 자꾸 위로 올라가서 살펴보아야 한다면 고객도 귀찮아지고 결국 페이지 이탈)
    • 판매자가 의도한대로 컨텐츠 탐색 후 구매까지 도달

 

📍 어디에 어떤 내용을 담아야 할까

 

 

1. 제품의 핵심 셀링포인트 한 문장으로 정리 (cast study - 등산가방)

내가 소개할 제품이 어떤 제품인지 한문장으로 정리하여 핵심 셀링포인트를 찾아낸다. 

가방의 디자인이나 용량보다는 '가벼움' 이라는것이 가장 큰 차별점임을 알 수 있다.

만약 핵심 셀링포인트를 잘 모르겠다? 그럼 내 제품의 특징을 먼저 상세히 파헤쳐본 후 가장 경쟁력있는 부분을 찾아낸다.

등산 효율을 높여주는 초경량 백팩

 

2. 제품 특징 파악: WHAT -- 우리 제품은 뭐가 좋아? 

내 제품이 어떤 스펙과 강점으로 보인는 특징이 있는지 파악하기. 

브랜드 판메자 입장에서는 강점이라고 보여질 수 있는 부분을 나열

제작시 특별히 공들였던 부분, 일부러 선택한 소재- 제품 개발 과정을 떠올리며 특징을 파악해보자. 

결국- 내 제품이 왜 특별한지, 좋은지, 사야되는지를 파악하는것임

 

 

3. 제품 특징의 "WHY" 파악  -- 이게 고객에게 왜 좋아?

What으로 뽑아낸 특징이 왜 좋은지를 파악한다. 

기능성 원단 소재는 ㅡ짐을 많이 넣어도 부담이 적고

높은 마찰 강도는 ㅡ 잘 찢어지지 않아 마음놓고 엑티비티를 즐길 수 있음  

안정적인 지지 구조는 ㅡ 가방 착용 시 편안함을 느끼게 해준다. 

 

 

 

4. 제품 특징 그룹짓기

특징과 , 특징에 따른 why를 주제에 따라 묶음.  주제는 3-5개 정도 추천. 주제가 너무 많으면, 대주제를 더 만들어서 줄이는것도 가능하다. 

 

 

5. 구조에 맞게 글 쓰기

그룹의 주제, 제품의 특징, 특징의 why 순서대로 메인카피 서브카피 본문카피 로 이동시켜준다. 

두괄식 화법을 위해 특징을 메인에, 특징은 서브에, why는 본문에 넣는것을 추천

강조하는 내용에 따라 why를 메임으로 올려도 좋다. 

하지만 보통 메인에는 긴 설명보다는 핵심적인 한방이 들어가야 한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 

 

 

 

메인카피- 등산에 최적화 된 가방

서브카피 - 초경량 가방 , 원단에 대한 이야기 

본문 - 이 원단을 사용하게 된 why가 작성되어있음

 

 

서브카피대신 번호(1,2,3)로 특징을 순차적 정리

본문을 줄 글 대신 명사형과 점 리스트로 표현하여 간결화  

 

 

📍 셀링포인트와 연관된 순으로 배치하기

셀링포인트 "등산 효율을 높이는 초경량 백팩"

그룹별 묶음을 셀링포인트와 연관된 순으로 배치한다. 

핵심주제에서 시작하는 자연스러운 플로우역류를 방지하는 상세페이지가 완성될 수 있다.

 


 

 

 

💡  제품 페이지에 필요한 '호흡'

상세페이지에 필요한 호흡, 최적화된 호흡을 만들어 보자. 

📍 글의 호흡이란

  • 글을 읽을 때 쉬는 숨을 박자, 전체 문장의 리듬
  • 문장의 호흡= 문장의 길이
    • 호흡이 긴 문장: 끊어짐이 없고 긴 문장
    • 호흡이 짧은 문장: 짧은 길이로 끊어지는 문장
  • 글의 빠르기(tempo) = 글이 읽히는 속도
    • 느린 템포: 꼼꼼하게 천천히 읽히는 글
    • 빠른 템포: 빠르게 읽히는 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나오는 뱅크갤러드 설명. 첫 문장이 88자로 긴 호흡. 전체적인 설명도 긴 편. 앱 설명에서는 직관성이나 후킹 보다는 정보 전달이 중요하기 때문에 긴 호흡이 문제는 되지는 않지만 만약 상세페이지로 들어간다면 다른 모습이 되어야 한다. 

 

 

전체적으로 호흡이 짧아짐. 가장 첫 문장을 절반 길이인 32자로 줄이고 나머지는 50자가 넘지 않도록 조절. 아래 문단은 아예 구조화를 통해 제목과 내용을 구분. 

상단의 앱 설명과 동일한 내용이지만 호흡을 바꾸니 조금 다르게 읽힌다.  고객과 더욱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고객을 몰입시킬 수 있다. 

 

 

📍 제품 상세페이지에 필요한 호흡

 

 

 

📍 제품 상세페이지 호흡 정리하기

호흡을 줄일 때 , ? ! 등을 이용해 문장을 짧게ㅡ 만들어 보려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쉼표가 많이 있으면 너무 길게 늘어진 느낌이고  

느낌표가 너무 많으면 숨이 너무 차오른다. 

단순히 쉼표, 느낌표, 물음표로 문장을 자른다고 정리되는것은 아니다. 

 

  • 소리내어 읽어보기 
    • 쉼표/ 느낌표/ 물음표 찍는다고 짧아지지 않음
    • 편안한 구어체와 유사한 호흡을 추천

주어 술어 불일치

 

 

  • 한 문장에 하나의 주제
    • 1문장 = 1주어 + 1술어
    • 주어-술어 호응 중요

디자인적 매력을 강조, 문단끼리의 연결성 구축

 

  • 적절한 반복은 메시지 강조 + 리듬감을 줄 수 있다 (예: 키워드 반복한, 라임 활용)
  • 단, 지나친 반복은 주의
    • 동일한 서술어를 반복하면 문장이 늘어진다
    • 형용사, 명사르 ㄹ반복 나열하면 호흡이 길어진다
    • 생략해도 의미에 지장 없다면 삭제

가죽 가죽 가죽. 불편하게 글의 호흡이 늘어난다.

 

생략해도 의미에 지장이 없으므로 삭제. 반복없이 의미 전달 완료

 

 

 

👎👎 심플, 깔끔, 단정 비슷한 의미 형용사 반복 👎👎

 

 

 

 

📍 문장정리 연습이 필요하다

온라인 컨텐츠 작성 시 짧은 카피의 내용을 작성해야 되는 상황이 왕왕 발생한다.

따라서 미리미리 연습해서 준비해보자.  

 

 

 

같은 내용을 각각 100-40-20-10자로 줄이는 연습

소개하고싶은 제품이나 준비하는 제품을 정하고 문장을 정리하는 연습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