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업개발캠프(2025)/기타학습

05_(1차)Q&A

 

 

✅ 실험단계에서 검증이 부족하다는 느낌과 방향을 바꾸어야겠다는 판단은 어떻게 구분하나?  --> 우선, 자기 기준이 있어야 한다. 또한 수많은 실험을 통해 만들어진 감이 필요하다. 실험을 통해 감을 키우자. 

 

 

✅ 광고 집행 시 반응이 없을때 어떻게 문제의 원인을 파악해보셨나요? --> 돌다리는 다 두드려본다. 퍼널분석

 

✅ fast follow 전략은 잘나가는 회사를 찾는다. 특히 재무제표를 통한 매출 과 영업이익 등을 꼭 확인한다. 

✅ 창업은 아무것도 없는 상태서 하는것이 아니다. 이미 잘 나가고 있는 상태를 조금 변형해서 발전시킨 형태로 진행한다.있지도 않은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것을 한다는것은 무모. (막말로 쟤네 매출500억이면... 난 5%라도 좀 먹어보자.. 이런 마음가짐...) 

참고할것이 있기 때문에 초보임에도 불구하고 큰 실수를 피할 수 있다.

 

 

✅ 원가계산 고정비 이런거 계산하니? --> 그럴바에 빨리 실행해서 고객반응을 본다. 기존업체가 돈 남기고 있으면, 이거 사실 계산 해 볼 필요도 없음. 기존업체가 영업이 되고 ROI가 되고 있다--> 그럼 나누어먹을 파이가 있다는거다. 

✅ 아이템을 떠올렸을때가 아니라 시장진입전략이 떠올랐을때가 창업 타이밍이다. (아이템으로 창업하는 시대는 지났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부분을 가지고 있다.) 

✅ 인지하는 돌, 호기심, 구매욕구, 신뢰구축,  결제하는 돌 사이에 돌맹이들을 채워넣는과정이라고 생각해보자. 

 

 

✅ 1번 실험에 max 100만원은 안넘었으면 좋겠다. 가장 이상적인건 1번 실험에 10-20만원 정도면 좋다. <- 이건 강사 개인적 의견. 사람의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발품을 팔면 금액은 얼마든지 아낄 수 있다. 

 

✅ 수익구조가 궁금하다. --> 애초에 쿠폰은 '쿠폰이라는 미끼로 사람들을 이끌어서, 커뮤니티 만들고, 커뮤니티에 그 지역 특화된 광고 혹은 내 매장에 대한 광고 를 넣을 수 있지 않을까?' 로 시작했다. 

하지만 사람은 많고 트래픽도 많은데 돈이 안벌릴수가 있다.

인력이 100명이 넘는데 매출이 50억이라면? 

매출에서 마케팅 비용이 절반이거나

인력이 너무 많거나

지급수수료가 너무 많거나

--> 사세가 커보이려고 하는 의도도 많다. (재무제표보면 다 나오는데 이런 시도는 의미가 있나? ) 

✅ 의지는 다 약하다. 그래서 의지를 따라가면 어느순간 다 무너질 수 가 있음. 약한 의지를 끌어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것이 중요하다.